1 현상

1.1 이클립스를 띄우거나, 코드 수정 등등 각종 액션이 된 후

1.2 갑자기 마우스 클릭이 안되고, 다시금 마우스 클릭시 하아얀 모달 화면이 뜸

1.3 이클립스 우측 하단에 "remote system explorer operation"이라는 메시지가 나타다고 백그라운드 프로그래바가 동작

 

- 바쁠 때 참으로 속이 답답해지는 이클립스 현상

- 버릴 수도 없고, 대체 가능한 툴도 못 찾고

- 이럴 때 다음과 같은 설정을 해 보자

Window > Preferences > General > Startup and Shutdown: RES UI > Uncheck

 

 

 

 

Window > Preferences > Remote Systems : Re-open Remote Systems view to previous state > Uncheck

Posted by 테리
:

- 탭 사이즈 (Tab size) 변경

Ctrl + Shift + P 액션에 나온 입력창에서 "user settings" 입력 후 클릭 또는 엔터

 

"detect indentation"를 검색하여 체크된 값을 해제

 

다시, "editor insert space"를 검색하여 "Editor: Insert Spaces"의 체크된 값을 해제

 

결과물은 다음 화면가 같아지네요

'개발 > vs co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ven 빌드시 pom.xml이 수정 모드가 되는 원인  (0) 2024.12.21
maven update  (0) 2024.12.21
여러 버전의 java 환경 설정  (0) 2024.12.21
maven 설정  (0) 2024.12.21
git clone  (0) 2024.12.13
Posted by 테리
:

Barrier https://github.com/debauchee/barrier

 

GitHub - debauchee/barrier: Open-source KVM software

Open-source KVM software. Contribute to debauchee/barrier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설치 방법은 검색된 페이지로 대체하고,

 

본인은 Server는 사무실 윈도우 10, Client는 맥북으로 설정하였다

현재(2024-04-15) 기준으로 barrier의 버전은 2.4.0-release 이며,

이 버전으로 윈도우와 맥북을 연결시 각가의 log에 "ssl certificate doesn't exist: ..." 문구와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

이때, 해결 방법은 barrier의 버전 2.3.2를 각각의 os에서 설치하여 log에 에러 문구가 사라지면,

그때 다시 2.4.0 버전을 설치하면 정상적으로 동작이 된다

참고 사이트는 다음과 같다

https://github.com/debauchee/barrier/issues/1377

 

No ssl certificate on Windows 10 (v2.4) · Issue #1377 · debauchee/barrier

What happened? When installing freshly Barrier on Windows 10, the ssl key is not created. Version v2.4 Git commit hash (if applicable) No response If applicable, where did you install Barrier from?...

github.com

 

버전 2.3.2를 먼저 설치한 후에 2.4.0으로 업그레이드 방법

Posted by 테리
:

사전 조건: curl 명령어로 전송

curl -s -X POST -F "json={"key":"value"}" -F "file=@/var/temp/20240320144142208137262.zip" http://192.168.0.1/controller/1
@Controller
@RequestMapping(value = "/controller")
public class Controller extends InterfaceController {
	@SuppressWarnings({ "unchecked" })
	@RequestMapping(value = "/sample", method = RequestMethod.POST)
	public ResponseEntity<String> sample(MultipartHttpServletRequest request) {
		ResponseEntity<String> retRE = new ResponseEntity<String>();
        JSONObject jso = null;
		Iterator<String> fileNames = null;
        String fileName = null;
    	MultipartFile file = null;
        String srcOrgFileName = "";
        
    	// JSON 데이터 추출
		jso = (JSONObject) parser.parse(request.getParameter("json"));
		
	    try {
    		// 멀티파트 요청에서 파일 추출
			fileNames = request.getFileNames();
			
			if(fileNames.hasNext()) {
				fileName = fileNames.next();
				file = request.getFile(fileName);
				srcOrgFileName = file.getOriginalFilename();
				
                // 파일 업로드 로직 구현
                // ...
			}
	    } catch(Exception e) {
    	}
    	
    	return retRE;
	}
}
Posted by 테리
:

 

 

 

 

 

 

 

 

Posted by 테리
:

1 gitlab plugin install

1.1 Dashboard > Jenkins 관리 메뉴 클릭

Jenkins 관리

1.2 System Configuration의 Plugins 메뉴 클릭

Plugins

1.3 Available plugins 메뉴 클릭

Avilable plugins

1.4 gitlab 검색어로  GitLab Plugin 체크 후 하단에 있는 Install without restart 버튼 클릭 후 설치가 끝나면 자동으로 Jenkins를 재시작한다

Plugins 설치

2 Item 등록

2.1 Dashboard > 새로운 Item 메뉴 클릭

새로운 Item

2.2 Item 이름 입력하고 Freestyle project 클릭 후, 하단의 OK 버튼 클릭

Item  이름 및 프로젝트 환경  선택

2.3 Dashboard > 프로젝트 이름 > Configuration > 소스 코드 관리 메뉴 클릭 후 Git 라디오 버튼 클릭

소스 코드 관리 선택

2.4 GitLab 프로젝트에서 Clone 버튼 클릭 후 Clone with HTTP의 우측에 위치한 주소 복사 버튼 클릭

GitLab 프로젝트 HTTP 주소 복사

2.5 Repositories URL 입력 필드 `2.4`에서 복사한 HTTP 주소를 붙여넣기한 후 Credentials 콤보 박스를 열어서 이미 설정한 GitLab의 ID를 클릭

GitLab 프로젝트의 HTTP 주소 및 ID 클릭

2.6 빌드 유발에서 `Build when a change is pushed to GitLab. GitLab webhook URL:` 체크 박스를 클릭하고, `Push Events`와 `Opened Merge Request Events` 체크 박스가 클릭이 되어 있는지 확인

빌드 유발 환경 설정

2.7 Build Steps에서 `Add build step` 콤보 박스를 클릭하여 `Execute shell` 항목을 클릭

Build Steps

2.8 빌드가 진행될 듯 표시되는 메시지를 입력한 후 저장 버튼 클릭

빌드 진행 시 표시되는 메시지

 

'개발 > Jenki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nkins email 통보 설정  (0) 2024.04.05
Posted by 테리
:

먼저, 이클립스를 닫고서

다음과 같은 work_space 파일의 백업본을 우선 생성하고, 본 파일을 열어서

"work_space\.metadata\.plugins\org.eclipse.core.runtime\.settings\org.eclipse.team.svn.core.prefs"

 

repositories에 보관된 모든 주소 정보를 변경, 저장한 후 이클립스를 띄우면 된다

Posted by 테리
:

getconf LONG_BIT

 

결과 값은 숫자로 다음과 같이

32 또는 64

'개발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sudo 접근 권한 부여  (0) 2023.05.25
Linux OS 버전 확인 (Raspberry Pi)  (0) 2023.05.25
Shell Script 연산자  (0) 2023.05.03
Posted by 테리
:

다음의 사이트를 참고하여 진행해 보십시요.

저도 jessey에서 stretch로 업데이트 하였습니다.

 

https://www.datenreise.de/en/raspberry-pi-raspbian-update-update-jessie-to-stretch/

Posted by 테리
:

일반 사용자 또는 특정 사용자에 대하여 sudo 권한을 부여하는 방법을 기록한다.

위와 같이 postgresql 사용자는 sudoers 파일에 없다는 에러를 보여준다.

이런 경우, postgresql 사용자에 대하여 sudo 명령어에 대한 접근 권한 부여 방법은 다음과 같다.

cat /etc/sudoers 화면에서 "Allow members of group sudo to execute any command"의 그룹 ID를 확인한다.

다음의 usermod  명령어로 sudo  접근 권한은 사용자한테 부여된다.

usermod --append -G sudo username

 

'개발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에 설치된 OS의 비트 정보 확인  (0) 2023.05.26
Linux OS 버전 확인 (Raspberry Pi)  (0) 2023.05.25
Shell Script 연산자  (0) 2023.05.03
Posted by 테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