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의 커서가 tab 2칸에 위치해 있을 때, enter 키를 누르면(한번 이상) 이전의 들여쓰기 위치가 유지가 안되는 현상

기본 설정값일 경우의 커서 위치 기본 설정값을 false로 바꾼 후의 커서 위치

vscode의 설정값 중에 "editor.trimAutoWhitespace"은 기본값이 true로 되어 있는데,

새로운 라인이 생성될 때마다 이전 라인 끝에 존재하던 공백을 자동 제거를 하는 설정값이였다

 

이 설정을  false로 변경했더니, 이전의 들여쓰기 위치가 유지가 된다

vim 에디터 모드를 사용하기에 이것 저거 다 설정을 해 보았으나, 결국에는 vscode 설정 중 기본값이 원인이 된 사례였다

코드 포매터인 prettier를 설치하였으나, 결국 이것도 결국 삭제함

"editor.trimAutoWhitespace": false

 

'개발 > vs co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줄 바꿈 문자 설정  (0) 2025.01.08
작업 공간 단위로 프로젝트 설정  (0) 2024.12.24
maven 빌드시 pom.xml이 수정 모드가 되는 원인  (0) 2024.12.21
maven update  (0) 2024.12.21
여러 버전의 java 환경 설정  (0) 2024.12.21
Posted by 테리
:

eclipse와 vscode를 번갈아 가면서 사용하다보니 서로간에 줄 바꿈 문자 설정이 상이할 수 있는 점

파일 > 기본 설정 > 설정으로 이동

검색창에서 eol로 검색하면 

The default end of line character. 한글판은 줄 바꿈 문자의 기본 끝입니다.

를 \r\n으로 설정합니다. 이것이 windows os의 기본 줄 바꿈 문자인  CRLF(Carrige Retun and Line Feed) 입니다

Posted by 테리
:

1 초기화 단계: 기존에 오픈한 작업 공간 닫기
1.1 파일 > 작업 영역에 폴더 추가를 하였는데, 이것은 작업 공간 단위로 프로젝트를 관리하지 않고,  모든 프로젝트는 공유된 .code-workspace 파일을 사용한다고 하여 초기화 진행
1.2 확인 방법
1.2.1 파일 > 작업 영력 저장(Save Workspace As...)이 활성화된 상태이면, 아직 작업 공간 파일을 저장하지 않은 상태이며, 비활성화이면 이미 .code-workspace 파일이 생성되어 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1.2.2 작업 공간이 이미 저장된 상태이면, vs code 창 상단에 .code-workspace 파일 경로가 표시가 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1.3 초기화 방법
1.3.1 파일 > 작업 영역 닫기(Close Workspace)를 선택
1.3.1.1  이것으로 현재 열려 있는 작업 공간(및 포함된 프로젝트)이 닫힌다
1.3.2 파일 > 최근 항목 열기 > 최근 항목 사용 지우기를 선택
1.3.2.1 이것으로 최근에 추가했던 폴더나 작업  공간 기록이 삭제가 된다
1.3.3 파일 > 기본 설정 > 설정을 선택 (이건 패스를 했어요)
1.3.3.1 검색창에 workspace를 입력
1.3.3.2 필요하지 않은 작업 공간 관련 설정이 있다면 비활성화를 하거나 또는 삭제를 한다
1.3.4 이전에 저장된 .code-workspace 파일이 있다면 직접 삭제
1.3.4.1 파일 탐색기에서 해당 파일의 위치로 이동하여 삭제를 한다
1.4 작업 영역 구성을 파일로 저장할 건지 묻을 때
1.4.1 저장하게 되면 workspace.code-workspace로 저장
1.4.2 저장하지 않으면 현재 작업 공간 구성은 유지되지 않는다

2 프로젝트 별로 작업 공간 설정
2.1 프로젝트 열기
2.1.1 파일 > 폴더 열기를 선택

2.1.2  프로젝트의 디렉토리(.java가 있는 곳)를 선택
2.1.2.1 프로젝트의 상위 디렉토리를 선택하면 안 됩니다
2.1.2.2 만약, 그랬다면 다음과 같이 초기화를 진행
2.1.1.2.1 파일 > 작업 영역 닫기가 없다면 파일 > 폴더 닫기

2.1 프로젝트 열기

 

2.2 작업 공간 저장
2.2.1 파일 > 작업 공간을 다른 이름으로 저장(Save Workspace As...)를 클릭
2.2.2 프로젝트 디렉토리를 클릭하여 프로젝트 디렉토리 안으로 이동
2.2.3 프로젝트 이름.code-workspace 이름으로 저장

2.2 작업 공간 저장


2.3 나머지 프로젝트드로 step 2.1과 step 2.2를 반복하여 진행

3 탐색기에는 마지막에 추가된 작업 영역만 보이네요. 개별적으로 작업 공간을 사용할 목적이기에 해당 작업 영역은 닫고, 다른 작업 영역을 올려볼께요
3.1 기존 작업 공간 닫기
3.1.1 파일 > 작업 공간 닫기(Close Workspace)를 선택
3.2 다른 작업 공간 열기
3.2.1 파일 > 작업 영역 열기(Open Workspace)를 선택

파일 > 파일에서 작업 영역 열기


3.2.2 작업할 작업 공간인 project_name.code-workspace 파일을 선택
3.3 프로젝트 6개를 동시에 작업을 해야 하는데, vs code 창이 6개가 열리겠네욬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Posted by 테리
:

분명히 pom.xml을 저장한 후에 maven  build를 했는데, 이상하게도 pom.xml이 수정 모드로 변하는데..

확인해 보니, dependency의 보안 취약점을 체크하는 plugin인 red hat dependency analytics이 문제였어

 

좋은 거 같으나, dependency를 함부로 올렸다가 에러가 발생하니, 해당 플러그인은 삭제

 

보안 취약점을 확인하고자 할 때엔 설치해서 살펴봐야쥐

'개발 > vs co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줄 바꿈 문자 설정  (0) 2025.01.08
작업 공간 단위로 프로젝트 설정  (0) 2024.12.24
maven update  (0) 2024.12.21
여러 버전의 java 환경 설정  (0) 2024.12.21
maven 설정  (0) 2024.12.21
Posted by 테리
:

maven update

개발/vs code 2024. 12. 21. 18:13 |

sts를 사용하다가 vs code에서 maven update는 ???

 

pom.xml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하면 Update Project를 선택해라는데.. 

어디지 하고 다시 찾아보니

 

참나...

'개발 > vs co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업 공간 단위로 프로젝트 설정  (0) 2024.12.24
maven 빌드시 pom.xml이 수정 모드가 되는 원인  (0) 2024.12.21
여러 버전의 java 환경 설정  (0) 2024.12.21
maven 설정  (0) 2024.12.21
git clone  (0) 2024.12.13
Posted by 테리
:

project 별로 java 버전이 상이하여 여러 버전의 java 환경을 설정 방법

Settings.json

java.configuration.runtimes

'개발 > vs co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ven 빌드시 pom.xml이 수정 모드가 되는 원인  (0) 2024.12.21
maven update  (0) 2024.12.21
maven 설정  (0) 2024.12.21
git clone  (0) 2024.12.13
vs code 설정 관련 (계속 잊고 있는 설정 정보 위주로 업데이트)  (0) 2024.04.22
Posted by 테리
:

maven 설정

개발/vs code 2024. 12. 21. 15:50 |

이전부터 vs code를 설정할 때 java 1.8을 기준으로 설정을 했는데, java 1.6을 기준으로 사용해야만 해서 maven install을 해 보니 자꾸만 java 1.8 기준의 maven 버전이 나와서 웹 사이트도 검색해 봐도 원하는 정보를 못 찾았는데(검색 능력이 떨어줘서...) 윈도우의 환경 설정(MAVEN_HOME 또는 PATH 설정 등)결국은 ...

vscode의 환경 설정에 명시가 되어 있더라는...

까먹지 말자!

 

 

Posted by 테리
:

git clone

개발/vs code 2024. 12. 13. 22:25 |

1 vscode에서 ctrl + shift + P or F1 클릭

1.1 `git clone` 검색

1.2 gitlab repository url을 입력

1.2.1 gitlab에 로그인한 후, clone 할 project를 클릭

1.2.2 project 화면에서 우측 상단에 위치한 `Code` 버튼을 클릭하고, `Clone with HTTP` 옆에 있는 `Copy URL`을 클릭하면 해당 project의 URL을 복사하게 된다

1.3 복사한 url 값을 1.2 단계의 화면에 붙여 넣은 후 enter 키를 누르면 clone될 레파지토리를 선택해야 한다

1.3.1 난 d:\_git으로 선택했다

1.4  그럼 이제 원격 레파지토리에서 소스를 내려받게 되는데

1.4.1  모니터가 1개 이상이면 잘보면 해당 gitlab에 로그인 창이 뜨니 꼭, 로그인하시구요

1.5 앗! 패스워드를 잘못 입력했나봐요. 근데, gitlab에서 넘겨준 한글 메시지가 깨졌어요

1.5.1 그럼,  한글 깨짐에 대한 설정을 vscode의 터미널에서 할께요

1.5.1.1 git config --global i18n.logOutputEncoding utf-8

1.5.1.2 git config --global i18n.commitEncoding utf-8

1.6 그럼 다시 내려받아 볼께요.. 패스워드 오류.. 한글이 나오나 봐야죠... 이건 아니네 ㅋㅋ

1.7 일단 프로젝틀 내려받은 후 내려받은 디렉토리로 가면 .git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config 파일에 다음의 정보를 추가한다

[i18n]
commitEncoding = utf-8
logOutputEncoding = utf-8

 

 

원격 레파지토리의 소스 내려받기는 이제 끝

이젠 잊지 말자

 

Posted by 테리
:

- 탭 사이즈 (Tab size) 변경

Ctrl + Shift + P 액션에 나온 입력창에서 "user settings" 입력 후 클릭 또는 엔터

 

"detect indentation"를 검색하여 체크된 값을 해제

 

다시, "editor insert space"를 검색하여 "Editor: Insert Spaces"의 체크된 값을 해제

 

결과물은 다음 화면가 같아지네요

'개발 > vs co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ven 빌드시 pom.xml이 수정 모드가 되는 원인  (0) 2024.12.21
maven update  (0) 2024.12.21
여러 버전의 java 환경 설정  (0) 2024.12.21
maven 설정  (0) 2024.12.21
git clone  (0) 2024.12.13
Posted by 테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