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it & push 이후 에러가 발생하거나

또는 pull이나 fetch를 하지 않고 commit & push를 ㅎ했을 때 오류가 발생한다

이때, rollback 방법은 아래와 같은데, 바로 직전의 commit을 취소하게 된다

git reset --soft HEAD^

 

Posted by 테리
:

eclipse와 vscode를 번갈아 가면서 사용하다보니 서로간에 줄 바꿈 문자 설정이 상이할 수 있는 점

파일 > 기본 설정 > 설정으로 이동

검색창에서 eol로 검색하면 

The default end of line character. 한글판은 줄 바꿈 문자의 기본 끝입니다.

를 \r\n으로 설정합니다. 이것이 windows os의 기본 줄 바꿈 문자인  CRLF(Carrige Retun and Line Feed) 입니다

Posted by 테리
:

1 초기화 단계: 기존에 오픈한 작업 공간 닫기
1.1 파일 > 작업 영역에 폴더 추가를 하였는데, 이것은 작업 공간 단위로 프로젝트를 관리하지 않고,  모든 프로젝트는 공유된 .code-workspace 파일을 사용한다고 하여 초기화 진행
1.2 확인 방법
1.2.1 파일 > 작업 영력 저장(Save Workspace As...)이 활성화된 상태이면, 아직 작업 공간 파일을 저장하지 않은 상태이며, 비활성화이면 이미 .code-workspace 파일이 생성되어 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1.2.2 작업 공간이 이미 저장된 상태이면, vs code 창 상단에 .code-workspace 파일 경로가 표시가 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1.3 초기화 방법
1.3.1 파일 > 작업 영역 닫기(Close Workspace)를 선택
1.3.1.1  이것으로 현재 열려 있는 작업 공간(및 포함된 프로젝트)이 닫힌다
1.3.2 파일 > 최근 항목 열기 > 최근 항목 사용 지우기를 선택
1.3.2.1 이것으로 최근에 추가했던 폴더나 작업  공간 기록이 삭제가 된다
1.3.3 파일 > 기본 설정 > 설정을 선택 (이건 패스를 했어요)
1.3.3.1 검색창에 workspace를 입력
1.3.3.2 필요하지 않은 작업 공간 관련 설정이 있다면 비활성화를 하거나 또는 삭제를 한다
1.3.4 이전에 저장된 .code-workspace 파일이 있다면 직접 삭제
1.3.4.1 파일 탐색기에서 해당 파일의 위치로 이동하여 삭제를 한다
1.4 작업 영역 구성을 파일로 저장할 건지 묻을 때
1.4.1 저장하게 되면 workspace.code-workspace로 저장
1.4.2 저장하지 않으면 현재 작업 공간 구성은 유지되지 않는다

2 프로젝트 별로 작업 공간 설정
2.1 프로젝트 열기
2.1.1 파일 > 폴더 열기를 선택

2.1.2  프로젝트의 디렉토리(.java가 있는 곳)를 선택
2.1.2.1 프로젝트의 상위 디렉토리를 선택하면 안 됩니다
2.1.2.2 만약, 그랬다면 다음과 같이 초기화를 진행
2.1.1.2.1 파일 > 작업 영역 닫기가 없다면 파일 > 폴더 닫기

2.1 프로젝트 열기

 

2.2 작업 공간 저장
2.2.1 파일 > 작업 공간을 다른 이름으로 저장(Save Workspace As...)를 클릭
2.2.2 프로젝트 디렉토리를 클릭하여 프로젝트 디렉토리 안으로 이동
2.2.3 프로젝트 이름.code-workspace 이름으로 저장

2.2 작업 공간 저장


2.3 나머지 프로젝트드로 step 2.1과 step 2.2를 반복하여 진행

3 탐색기에는 마지막에 추가된 작업 영역만 보이네요. 개별적으로 작업 공간을 사용할 목적이기에 해당 작업 영역은 닫고, 다른 작업 영역을 올려볼께요
3.1 기존 작업 공간 닫기
3.1.1 파일 > 작업 공간 닫기(Close Workspace)를 선택
3.2 다른 작업 공간 열기
3.2.1 파일 > 작업 영역 열기(Open Workspace)를 선택

파일 > 파일에서 작업 영역 열기


3.2.2 작업할 작업 공간인 project_name.code-workspace 파일을 선택
3.3 프로젝트 6개를 동시에 작업을 해야 하는데, vs code 창이 6개가 열리겠네욬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Posted by 테리
:

git bash 사용법

개발/Git 2024. 12. 24. 15:00 |

이거야 말로 내가 보기 위해서 정리 중인 것

기능 명령어 설명
remote와의 연결 또는 연동  git config-global user.name "user_name"  
remote의 프로젝트 clone git clone http://192.168.1.2:8081/url.git

- 굳이 프로젝트의 디렉토리를 생성할 필요가 없다
- 프로젝트들의 상위 디렉토리에서 실행하면 하위 디렉토리에 프로젝트별로 생성이 된다 
로컬의 기본 브랜치 변경 - clone 이후 git checkout dev - dev 브랜치가 기본으로 설정이 되어 있어도 clone을 하게 되면 master 또는 main이 기본 브랜치로 보이게 된다
- 프로젝트별로 설정
로컬의 기본 브랜치 확인 git branch - 프로젝트 별로 확인
로컬의 기본 브랜치 변경 git symbolic-ref HEAD refs/heads/dev - 프로젝트 별로 설정
- refs/heads/main 파일을 삭제해 봐야 기본 브랜치는 변경되지 않는다는 점을 유의해야 할 사항

 

Posted by 테리
:

분명히 pom.xml을 저장한 후에 maven  build를 했는데, 이상하게도 pom.xml이 수정 모드로 변하는데..

확인해 보니, dependency의 보안 취약점을 체크하는 plugin인 red hat dependency analytics이 문제였어

 

좋은 거 같으나, dependency를 함부로 올렸다가 에러가 발생하니, 해당 플러그인은 삭제

 

보안 취약점을 확인하고자 할 때엔 설치해서 살펴봐야쥐

'개발 > vs co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줄 바꿈 문자 설정  (0) 2025.01.08
작업 공간 단위로 프로젝트 설정  (0) 2024.12.24
maven update  (0) 2024.12.21
여러 버전의 java 환경 설정  (0) 2024.12.21
maven 설정  (0) 2024.12.21
Posted by 테리
:

maven update

개발/vs code 2024. 12. 21. 18:13 |

sts를 사용하다가 vs code에서 maven update는 ???

 

pom.xml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하면 Update Project를 선택해라는데.. 

어디지 하고 다시 찾아보니

 

참나...

'개발 > vs co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업 공간 단위로 프로젝트 설정  (0) 2024.12.24
maven 빌드시 pom.xml이 수정 모드가 되는 원인  (0) 2024.12.21
여러 버전의 java 환경 설정  (0) 2024.12.21
maven 설정  (0) 2024.12.21
git clone  (0) 2024.12.13
Posted by 테리
:

본격적으로 vs code를 사용하고자 하니 각종 설정이 필요해 보이네요. 휴우....

 

이번에 확장자별 들여쓰기 규칙을 설정을 해 볼께요

 

먼저, vs code 설정에서 파일의 내용을 기반으로 tab 또는 white space를 자동 감지하도록 설정을 해야 합니다

텍스트 편집기 > Detect Indentation

 

그 다음은 확장 툴을 받아야 하네요

EditorConfig for VS Code

 

이후부터 프로젝트 단위로 .editorconfig 파일을 생성합니다

- 파일명을 입력하면 안되고

 

빈 .editorconfig 파일의 기본적인 설정입니다

 

 

의문점.. 

프로젝트가 아닌 그 상위 디렉토리에서 적용이 안되는 건가?

Posted by 테리
:

project 별로 java 버전이 상이하여 여러 버전의 java 환경을 설정 방법

Settings.json

java.configuration.runtimes

'개발 > vs co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ven 빌드시 pom.xml이 수정 모드가 되는 원인  (0) 2024.12.21
maven update  (0) 2024.12.21
maven 설정  (0) 2024.12.21
git clone  (0) 2024.12.13
vs code 설정 관련 (계속 잊고 있는 설정 정보 위주로 업데이트)  (0) 2024.04.22
Posted by 테리
:

maven 설정

개발/vs code 2024. 12. 21. 15:50 |

이전부터 vs code를 설정할 때 java 1.8을 기준으로 설정을 했는데, java 1.6을 기준으로 사용해야만 해서 maven install을 해 보니 자꾸만 java 1.8 기준의 maven 버전이 나와서 웹 사이트도 검색해 봐도 원하는 정보를 못 찾았는데(검색 능력이 떨어줘서...) 윈도우의 환경 설정(MAVEN_HOME 또는 PATH 설정 등)결국은 ...

vscode의 환경 설정에 명시가 되어 있더라는...

까먹지 말자!

 

 

Posted by 테리
:

Code Minings

개발/Eclipse 2024. 12. 21. 13:33 |

mining이 채굴이네요.. ㅎㅎ

eclipse의 설정을 이것저것 바꾸다보니 어느 순간 이상한 문구가 나왔다. 그것은...

x references

클래스, 전역 변수, 함수 등에서 나타났는데...

첨에는 신기하고, 괜찮네하면 그대로 사용을 하였으나..

구현할 때 눈을 아프게하는 요소가 되어 해당 설정을 어떻게 바꾸나 검색하였으나, 실패..

어쩌다 발견된 설정 정보인

Window > Preferences > Java > Editor > Code Minings

결국 Java 항목에 있었다는 것을 이제서야 확인..

하긴 Code Minings라는 것이 있다는 것도 최근에 알았으니 뭐.. 

구현시엔 불필요하다고 생각이 들어서 Enable code minings를 체크 해제하는 걸로...

이젠, 눈이 아플 일이 없을 듯..

소스 분석이나 소스 리펙토링엔 필요할 듯 보이네요

Posted by 테리
: